Collective Intelligence 썸네일형 리스트형 집단지성의 미디어 - 대체 현실 게임 한학기동안 삽질의 결과물. 얻은것: 내가 좋아하는 분야, 나가고 싶은 분야에 대한 idea, 목표의 구체화 얻은게 참 많다.. ㅎㅎ 잃은거: 성적? ㅋㅋㅋ 한줄요약: 대체 현실 게임(Alternate Reality Game)은 집단지성을 이끌어내는데 최적의 미디어이다. 더보기 [기사] 진짜 디자인 서울, 집단지성으로 만든다 진짜 ‘디자인서울’, 집단지성으로 만든다 이희욱2010. 05. 17(0)오픈컬처 | ‘비공식 불법 디자인서울 캠페인.’ 소셜 미디어를 즐겨찾는 이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법도 하다. 이름부터 불온하고 전복적 냄새가 풍기는가. 걱정마시라. 재미있고 뜻 깊은 실험 프로젝트 정도로 해두자. 올해는 서울시가 국제산업디자인단체총연합회(ICSID)에 의해 ‘세계디자인수도’로 지정된 해다. ‘세계디자인수도’는 도시 발전 과정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ICSID가 세계 도시를 대상으로 2년마다 선정한다. 서울은 2007년 선정돼, 2008년부터 관련 행사와 홍보에 힘을 쏟아왔다. ‘디자인서울 거리 조성’, ‘서울해치택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등이 대표 사례다.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서울 거리 곳곳에.. 더보기 집단지성의 역사를 열다. 위키피디아 I. 위키피디아의 승리 2005 네이처의 리포트 "Internet encyclopedias go head to head" 에 실린 위키피디아 vs 브리태니커의 실험 결과는 혁명적이었다. 많이 알려진 사실이지만 간단히 요약하자면 1. 과학 분야 항목 50개를 뽑아 전문가들에게 검토 의뢰 2. 의뢰한 50개 항목 중 42개의 쓸만한 항목(usable reviews)을 네이처에서 재검토 3. 심각한 오류 브리태니커, 위키피디아 각 4개씩 4. 사실적 오류, 생략,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 위키피디아 162개, 브리태니커 123개 네이처가 내린 결론: 브리태니커의 강점은 위키피디아에 비해 두드러지지 않는다 물론 이 레포트가 나간 뒤 브리태니커는 네이처에게 엉터리 실험이라며 정정을 요구했지만 네이처는 들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