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ing 썸네일형 리스트형 [북리뷰] 한국이 싫어서 +공감할 수 있는 모든 것 그야말로 ‘한국이 싫어서’ 호주로 이민을 떠난 주인공 계나의 1인칭 시점. 정말 대한민국 20대 후반의 여성이 말하는 것처럼 친근한 어휘, 말투, 생각의 흐름. 그럴 듯한 일상이 참 이 책에 몰입하게 만든다. 그리고 조금도 과장되지 않은 있을 법한 전개와 결말, 사실 이 소설은 실존 인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쓴 실화이며, 기자출신 작가의 빼어난 취재력이 소설에 공감하는데 튼튼한 뼈대가 되었다. +정리하면, 친절한 작가 같으니. 소설은 계나의 친절한 정리로 이렇게 마무리된다. [밥을 먹는 동안 나는 행복도 돈과 같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어. 행복에도 ‘자산성 행복’과 '현금흐름성 행복’ 이 있는 거야. 어떤 행복은 뭔가를 성취하는 데서 오는 거야. 그러면 그걸 성취했다는 기.. 더보기 20대를 위한 세상 바라보기와 세상에 대처하기 (20대, 컨셉력에 목숨 걸어라) 20대 자기개발에 미쳐라 20대 스튜어디스를 꿈꿔라 20대 나만의 무대를 세워라 대한민국 20대 재테크에 미쳐라 대한민국 20대 일찍 도전하라 20대 공부에 미쳐라 20대 세계 무대에 너를 세워라 대한민국 20대, 말이 통하는 사람이 돼라 20대, 이 정도 영어 상식은 마스터하라 20대, 네가 진짜 원하는 게 뭐야 대한민국 20대, 공모전에 미쳐라! 대한민국 20대, 펀드 투자에 미쳐라 대한민국 20대 내집마련에 미쳐라 20대 인맥을 넓혀라 대한민국 20대, 스펙을 높여라 20대 나의 꿈을 리드하라 20대 지금 당장 주식에 투자하라 20대 여성, 멋스럽고 당당한 나를 키워라 20대 크게 생각하라 20대 재능을 돈으로 바꿔라 대한민국 20대, 인테크에 미쳐라 yes24에서 '20대'라는 키워드로 검색했을 .. 더보기 [북리뷰] 모두가 광장에 모이다 역시 한국은 빠르다. 나보다 똑똑한 우리에 이어 국내에서 집단지성으로 만든 최초의 책 내용 구성이 '나보다 똑똑한 우리'보다 오히려 낫다. 스크린의 등장, 그리고 web 2.0을 통해 변해가는 세계에 대한 통찰도 괜찮았다. 다만 아쉬운 점은 후반으로 갈수록 너무 트위터 중심으로 쓰여졌다는 것. 뒷부분은 거의 트위터 이야기가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었고 그만큼 트위터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web 2.0을 통한 집단 저술은 이제 막 걸음마를 내딛었을 뿐이고 아마도 이슈는 협력방식과 구성이 되지 않을까. 나보다 똑똑한 우리에서도 구성이 영 흐름도 뚝뚝 끊겨서 아쉬웠는데 모두가 광장에 모이다는 그 부분에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 역시 집단지성 역사의 한 페이지라는 의미로 소장 ^^ 더보기 [북리뷰] 나보다 똑똑한 우리. 집단지성으로 완성한 최초의 책 크라우드 소싱과 크라우드소싱을 통한 협력, 즉 집단지성은 기존 전문가들의 조직과 협력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 사례는 이제 더 이상 책이 따라 잡을 수 없을 정도이다. 새로운 닷컴 시대의 개막이라고나 할까. 왠지 우리나라는 이 이슈에 그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진 않는거 같지만. 우리 나라 사례는 나중에 소개하고 위키피디아와 같은 협업 저술로 책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발상에 www.wearesmarter.org 에 목적을 소개하고 커뮤니티 참여자들을 모았으며 회원 4,000여명이 협업해 저술한 책이다. (2007년) 물론 주제 전개나 구성, 그래픽 디자인의 경우는 한 사람에게 맡길 수밖에 없었다고 저자는 말하지만. 전체적인 구성은 크라우드 소싱을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는 저서의.. 더보기 이전 1 다음